산업부, 산업・에너지 혁신성장 가속화…조직개편
페이지 정보
최고관리자 19-02-22 19:14 2,483회관련링크
본문
산업통상자원부가 제조업 활력 회복 및 산업 혁신성장을 가속화하고, 에너지 분야 수요혁신 및 산업 육성을 강화하기 위해 조직 개편을 단행한다.
이에 따라 에너지자원실에 에너지혁신정책관을 신설해 에너지 소비구조 혁신 및 분산에너지 활성화 정책을 담당하도록 하고, 분산형 에너지 관련 기능 전담 조직인 분산에너지과를 신설한다.
산업정책실은 산업정책 수립과 업종별 현장 정책을 함께 담당해 정책간 유기적 연계를 강화한다.
산업통상자원부(장관 성윤모)는 산업 및 에너지 분야의 조직개편 내용을 포함한 ‘산업통상자원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 개정령안’이 19일 국무회의에서 확정됐다고 밝혔다.
이번 조직개편은 핵심 국정과제인 혁신성장을 가속화하여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 창출을 신속히 해나가기 위해서라고 산업부는 설명했다.
다음은 산업부 조직개편 주요 내용.
■ 에너지 분야
에너지자원실은 ▲에너지소비구조혁신(에너지혁신정책관), ▲에너지 자원의 안정적 공급(자원산업정책관), ▲원전 정책 및 수출진흥(원전산업정책관), ▲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(신재생에너지정책단) 등 기능별 편제로 개편한다.
에너지정책의 수요 측면을 강화하기 위해 에너지 저효율다소비 구조 혁신을 전담할 국장급 조직(에너지혁신정책관)을 신설하고, 에너지효율과(구 에너지수요관리과)를 두어 에너지 소비구조혁신을 위한 효율향상정책 기획 기능을 보강하는 한편, 전력산업과 및 전력시장과( 구 전력진흥과)도 통합 이관하여 종합적인 에너지소비구조 혁신을 추진한다.
아울러 집단에너지, 지능형 전력망, 전력 계통 등 분산형 에너지 관련 기능 전담 조직인 분산에너지과를 신설한다.
신재생에너지정책단의 신에너지산업과(구 에너지신산업과)는 수소경제활성화 등 신에너지산업 육성 기능이 보강되며, 재생에너지산업과(구 재생에너지보급과)는 재생에너지 설비 보급뿐만 아니라 재생에너지산업 육성 기능을 담당함으로써 에너지 분야의 전반적인 신산업 창출 기능이 강화된다.
■산업 분야
산업정책실에서 산업정책 총괄과 업종별 정책(소재부품, 제조)을 연계하여 수행하고, 현장의 산업정책 수요에 기민하게 대응함으로써 제조업 활력 회복을 강도 높게 추진한다.
업종은 공정의 유사성, 원료의 수요-공급 등 가치사슬을 고려해 섬유세라믹과는 '섬유화학탄소과', 철강화학과는 '철강세라믹과'로 재편하는 등 재배치하고, 탄소·나노 기능은 기존에 분산됐던 탄소·나노 업무를 섬유화학탄소과에 일원화하는 등 통합·재편해 시너지를 창출해나갈 계획이다.
산업혁신성장실은 기술혁신, 지역경제 활성화 및 중견기업정책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재편성된다.
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주력산업에 효과적으로 적용 및 활용할 수 있도록 산업기술시장과를 ‘산업기술시장혁신과’로 확대 개편한다.
또한, 정책 고객의 이해도를 높이고 현장의 정책 수요에 대하여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일부 부서 명칭을 변경한다.
이에 따라 기존 시스템산업정책관은 제조산업정책관, 산업기술정책관은 산업기술융합정책관으로 변경된다. 또 전자부품과는 반도체디스플레이과, 바이오나노과 는 바이오융합산업과, 산업기반총괄과는 소재부품총괄과로 각각 명칭이 변경된다.
산업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산업통상자원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및 직제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안을 2월말 공포 즉시 시행할 예정이다.
이에 따라 에너지자원실에 에너지혁신정책관을 신설해 에너지 소비구조 혁신 및 분산에너지 활성화 정책을 담당하도록 하고, 분산형 에너지 관련 기능 전담 조직인 분산에너지과를 신설한다.
산업정책실은 산업정책 수립과 업종별 현장 정책을 함께 담당해 정책간 유기적 연계를 강화한다.
산업통상자원부(장관 성윤모)는 산업 및 에너지 분야의 조직개편 내용을 포함한 ‘산업통상자원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일부 개정령안’이 19일 국무회의에서 확정됐다고 밝혔다.
이번 조직개편은 핵심 국정과제인 혁신성장을 가속화하여 국민이 체감하는 성과 창출을 신속히 해나가기 위해서라고 산업부는 설명했다.
다음은 산업부 조직개편 주요 내용.
■ 에너지 분야
에너지자원실은 ▲에너지소비구조혁신(에너지혁신정책관), ▲에너지 자원의 안정적 공급(자원산업정책관), ▲원전 정책 및 수출진흥(원전산업정책관), ▲신재생에너지 산업육성(신재생에너지정책단) 등 기능별 편제로 개편한다.
에너지정책의 수요 측면을 강화하기 위해 에너지 저효율다소비 구조 혁신을 전담할 국장급 조직(에너지혁신정책관)을 신설하고, 에너지효율과(구 에너지수요관리과)를 두어 에너지 소비구조혁신을 위한 효율향상정책 기획 기능을 보강하는 한편, 전력산업과 및 전력시장과( 구 전력진흥과)도 통합 이관하여 종합적인 에너지소비구조 혁신을 추진한다.
아울러 집단에너지, 지능형 전력망, 전력 계통 등 분산형 에너지 관련 기능 전담 조직인 분산에너지과를 신설한다.
신재생에너지정책단의 신에너지산업과(구 에너지신산업과)는 수소경제활성화 등 신에너지산업 육성 기능이 보강되며, 재생에너지산업과(구 재생에너지보급과)는 재생에너지 설비 보급뿐만 아니라 재생에너지산업 육성 기능을 담당함으로써 에너지 분야의 전반적인 신산업 창출 기능이 강화된다.
■산업 분야
산업정책실에서 산업정책 총괄과 업종별 정책(소재부품, 제조)을 연계하여 수행하고, 현장의 산업정책 수요에 기민하게 대응함으로써 제조업 활력 회복을 강도 높게 추진한다.
업종은 공정의 유사성, 원료의 수요-공급 등 가치사슬을 고려해 섬유세라믹과는 '섬유화학탄소과', 철강화학과는 '철강세라믹과'로 재편하는 등 재배치하고, 탄소·나노 기능은 기존에 분산됐던 탄소·나노 업무를 섬유화학탄소과에 일원화하는 등 통합·재편해 시너지를 창출해나갈 계획이다.
산업혁신성장실은 기술혁신, 지역경제 활성화 및 중견기업정책을 담당하는 조직으로 재편성된다.
인공지능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주력산업에 효과적으로 적용 및 활용할 수 있도록 산업기술시장과를 ‘산업기술시장혁신과’로 확대 개편한다.
또한, 정책 고객의 이해도를 높이고 현장의 정책 수요에 대하여 유연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일부 부서 명칭을 변경한다.
이에 따라 기존 시스템산업정책관은 제조산업정책관, 산업기술정책관은 산업기술융합정책관으로 변경된다. 또 전자부품과는 반도체디스플레이과, 바이오나노과 는 바이오융합산업과, 산업기반총괄과는 소재부품총괄과로 각각 명칭이 변경된다.
산업부는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산업통상자원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 및 직제 시행규칙 일부 개정령안을 2월말 공포 즉시 시행할 예정이다.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